티스토리 뷰
1) 개요
해부학 anatomy, anatomia :
- 생물체의 형태와 구조를 손으로 만져보고 칼로 찢어보고 눈으로 확인하며 이해하는 학문
- 크기, 모양, 다른 장기와의 관계, 구성요소, 구성과정, 기능 등 유기적인 관계 이해필요
고전적인 해석 : 해부학은 형태학 (morphology)의 일부
해부학의 분류
- 육안해부학 (macroscopic anatomy), 현미경해부학 (microscopic anatomy), 조직학 (histology), 세포학 (cytology), 발생학 (embryology)
육안해부학 (macroscopic anatomy)의 상세분류
- 계통해부학 (systemic anatomy), 국소해부학 (regional anatomy)
기타 분류
- 개체해부학 (special anatomy), 비교해부학 (comparative anatomy)
수의해부학 (veterinary anatomy)
- 개를 기본으로 구조 익힘
- 가축 (소, 말, 돼지, 면양 등), 조류 (닭, 오리 등), 실험동물 (랫드, 마우스, 햄스터, 토끼 등), 애완동물 (고양이)
2) 해부학용어
- 초창기는 그리스어로, 나중에는 라틴어
- 국외 : 바젤해부학용어, 예나해부학용어, 파리해부학용어, 비엔나의 수의해부학용어, 수의발생학용어 등 제정
- 국내 : (일본)한자해부학용어, 한글해부학용어, 가축해부학용어, 수의해부학용어
3) 골격, 관절 및 근육계통
가. 골격 (뼈대)
- 신체의 받침대, 기관보호, 근육의 부착점
- 근육과 함께 운동기관의 역할
- 뼈(bone), 연골(cartilage), 인대 (ligament)로 구성
- 골수 (bone marrow) : 적혈구나 백혈구의 공장
- 형태 : 뼈의 외부는 뼈가 지주역할을 하고 그 주위로 근육, 인대가 덮고 있음
- 머리뼈
- 몸통뼈 : 척주, 복장뼈, 갈비뼈
- 다리뼈 : 앞다리뼈, 뒷다리뼈
- 척추 : 목뼈 (cervical vertebrae), 등뼈 (thoracic vertebrae), 허리뼈(lumbar vertebrae), 엉치뼈(sacral vertebrae), 꼬리뼈(caudal vertebrae)
나. 관절 joint
- 두 개의 뼈가 연결되는 것
- 연골관절 (cartilaginous joint), 윤활관절(synovial joint), 섬유관절(fibrous joint) : 임상적으로는 연골, 윤활 관절이 중요
- 연골관절 : 마주보는 두 뼈 사이에 섬유연골이나 유리연골이 끼어 있는 관절, 제한된 운동만을 하는 반가동관절
- 윤활관절 : 뼈 사이에 관절주머니 (articular capsule)이 있어 윤활액이 가득 차 있음, 큰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동관절, 대부분의 골격근 운동에 관여
- 섬유관절 : 머리뼈에서 볼 수 있는 봉합(suture)형태로 두 뼈 사이에 섬유성 결합조직이 채워져있음, 움직임 X 부동관절
다. 근육 muscle
- 근육세포가 근육조직 (muscle tissue)을 형성하여 이루어짐
- 세포로 이루어져 근육섬유 (muscle fiber)라고 함
- 주로 수축운동
- 동물체를 지지
- 사지, 심장 및 소화관등의 운동
- 체온의 발생원
- 체중의 약 40% 차지
- 작용, 형태, 힘줄 (tendon) 또는 널힘줄 (aponeurosis)의 결합상태에 따라 각기 이름 붙임
조직학적 분류
- 가로무늬근 (striated muscle, 횡문근) : 골격근, 심장근
- 민무늬근 (smooth muscle, 평활근) : 내장관, 혈관벽, 피부
기능적 분류
- 수의근 : 운동신경에 의해 지배, 일반 뼈대근육 (골격근)
- 불수의근 : 자율신경에 의해 지배,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 골격근 : 뼈에 부착하는 근육, 개를 포함한 가축에서 약 270종 존재, 근육의 대부분, 근육의 형태와 크기는 각기 다르지만 기본모양은 가락모양(방추상), 크게 몸통근육과 다리근육으로 분류
- 힘살 (belly) : 가락모양근의 볼록한 중앙부분
- 이는곳 (original) : 뼈의 몸쪽에 부착하여 움직임이 거의 없는 근육부위
- 닿는곳 (insertion) : 뼈의 먼쪽에 부착하여 잘 움직이는 근육부위
4) 호흡계통 (respiratory system)
호흡 (respiration) :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체외로부터 산소를 받고, 물질대사에 의해 생긴 탄산가스 방출
- 개 : 안정된 상태에서 1분에 10~30번 호흡
- 흡기 (inspiration) : 흉강용적이 커지면 폐용적이 넓어지며 폐내의 공기분자 농도가 낮아지고, 공기는 압력이 높은 외부로 부터 압력이 낮은 폐안으로 들어옴
- 호기 (expiration ) : 흉막의 용적이 작아지면 폐용적이 작아져 공기분자의 밀도가 높아지고, 공기는 밀도가 낮은 체외로 배출
- 호흡계통은 코와 코안 (nasal cavity : 비강), 코인두 (nasopharynx), 후두 (larynx), 기관 (trachea), 허파 (lung : 폐)로 구성
- 허파 lung : 기관지 (bronchi), 세기관지 (bronchioles), 허파꽈리 (alveoli : 폐포)로 구성
5) 순환계통 (cardiovascular system)
- 혈액이 순환하며 산소, 영양물질의 운반,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의 제거
- 물질교환 : 모세혈관벽을 통하여 혈액과 조직액 사이에 이루어짐, 폐쇄순환
- 호르몬, 항체 등의 운반
- 체온유지 : 체내에서 발생한 열을 전신으로 전달
- 체액 = 혈액 + 림프액
- 심장, 혈관, 지라 (비장), 림프절, 림프관 등이 관여
가. 심장
- 혈액을 전신의 각 조직으로 보내는 펌프
- 가슴안 정중앙에서 약간 왼쪽
- 심장내부에는 윤활유의 역할을 하는 심낭액이 차 있음
- 방실판막 (atrioventricular valve) : 혈액의 역류 방지
- 박동 : 좌우의 심방수축 -> 좌우의 심실수축 -> 이완
- 포유류, 조류 : 2심방 2심실
나. 혈액순환
- 심장 -> 동맥 -> 장기의 조직 -> 정맥 -> 심장
- 동맥별 두껍 > 정맥벽 상대적 얇음 : 심장 수축에 의한 압력이 동맥에 걸리므로
- 정맥은 심장의 압력이 X, 따라서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판막이 있음
- 동맥혈은 말초조직에서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의 물질교환 후 정맥혈로 변신
- 폐순환 : 심장과 폐 사이의 순환
- 체순환 : 심장과 조직사이의 순환, 가스교환, 영양분 공급, 콩팥을 통해 노폐물 제거
- 문맥순환 : 장, 지라, 이자(췌장)등으로 부터 오는 혈액은 일단 문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간 후에 모세혈관, 간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옴
(간이 중요하구나!)
- 관상순환 : 심장이 자기 자신을 거치며 심장근육에 물질교환을 수행
다. 림프순환 (lymphatic circulation)
- 척추동물 혈액중의 혈장은 모세혈관 벽으로부터 조직내로 보냈다가 다시 혈액내로 돌아옴
- 일부는 혈관과 다른 모세림프관으로 들어가 림프액이 됨
- 림프액 : 무색의 투명한 액체
- 림프절 : 림프관의 중간에 있는 공모양의 기관, 림프구 생산, 림프액에 있는 세균의 여과
- 감염에 의해 림프절에 병원균이 침투하면 뚱뚱 부어오름 - 림프관은 모이면 크기가 증가됨
- 림프절 통과한 후 모인 애들이 두꺼운 림프관인 가슴관이 됨
- 가슴관은 왼상완머리정맥 부근에서 대정맥으로 들어감
- 장으로 들어오는 림프액은 흡수된 지방때문에 우윳빛깔
6) 소화계통 (digestive system)
- 고분자 화합물을 저분자물질로 만들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소화가 필요
- 기계적소화 : 치아나 혀 등으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혼합, 식도, 위, 장관 등의 연동운동이나 분절운동
- 화학적소화 : 침, 위액, 창자액, 이자액 등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효소와 쓸개즙의 작용에 의해 음식물을 화학적으로 분해
- 위액 : 젖산, 펩신, 레닌 포함
- 창자액 :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그리고 중탄산나트륨 포함
(중탄산나트륨은 위에서 산성화된 내용물을 중화시켜 장으로 보냄)
- 소장의 융모 상피세포를 통해 분해된 영양물질이 혈액, 림프액으로 흡수
- 대장에서는 수분, 비타민, 무기물류 흡수
- 소화관 : 입안 (구강),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 등
- 부속기관 : 입술, 혀, 치아, 침샘, 간, 이자 등
가. 입안 (구강 oral cavity) 및 인두 (pharynx)
- 입안 : 입술에서 인두 전까지의 공간
- 이로 씹어서 잘게 만들어지고, 침과 섞여서 기계적 및 화학적 소화가 이루어짐
- 큰침샘 : 귀밑샘 (parotid gland 이하선), 턱샘 (mandibular gland, 악하선), 혀밑샘 (sublingual gland, 설하선)
- 작은침샘 : 입술샘 (labial gland, 구순선), 볼샘 (buccal gland, 협선), 입천장샘 (palatine gland, 구개선)
- 침샘 : 점액샘 (점액세포 + 장액세포), 혼합샘 (장액샘 + 장액세포)
- 귀밑샘 : 장액샘, 턱샘 : 혼합샘, 혀밑샘 : 혼합샘(점액 높음)
- 인두 : 입인두 (oropharynx), 코인두 (nasopharynx), 후두인두 (laryngopharynx)
나. 치아
- 치아는 위턱과 아래턱의 2개의 치아활 (dental arches, 치아궁)에 배열되어 주로 음식을 씹는 작용 (mastication)을 함
- 주로 아래위턱, 씹기근 (저작근), 입술 및 혀 등과의 통합된 작용에 의함
- 탈락치아 (젖니, 유치) 와 영구치아 (간니)로 구분
- 하등동물에서는 모두 같은 치아형태, 포유동물에서는 식성과 밀접한 관계, 특히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은 큰 차이
- 포유동물의 치아 : 앞니 (insisor tooth, 절치), 송곳니 (canine tooth, 견치), 작은 어금니 (premolar tooth), 큰 어금니 (molar tooth) 로 분류
- 치식 (dental formula) : 치아의 종류와 수를 표현하는 것, 동물의 종속에 따라 다름, 분류상 큰 특징, 치아의 배열은 좌우대칭이므로 일반적으로 정중앙으로부터 한쪽만 표시함
다. 식도 (esophogus)와 위 (stomach)
- 식도 : 인두와 연결된 관으로 기관의 등쪽을 따라 흉강과 가로막 (횡격막)을 관통하여 위에 도달
- 음식이 식도에 들어가면 연동시작, 음식은 위를 향해 보내짐
- 음식이 위에 접근하면 위와 식도의 접합부가 이완되어 음식은 위내로 들어감
- 식도에는 미주신경, 후두나 식도상부에는 되돌이후두신경 (반회신경, recurrent laryngeal nerve)
- 단위동물 : 위가 1개, 개를 포함한 육식동물
- 복위동물 : 위가 2개 이상, 닭과 같은 조류는 2개, 소와 양은 4개
- 구조 : 들문부위 (cardiac region, 분문부), 위바닥부위 (fundic region, 위저부), 날문부위 (pyloric region, 유문부), 그리고 각 부위에 샘 (gland)이 있음
- 들문부위에 윤상으로 발달한 들문조임근이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 방지
- 음식물이 위 내에서 소화되어 즙의 형태가 되면, 날문부위가 가끔씩 열려 내용물이 조금씩 샘창자 (십이지장)로 이동
- 위액은 주로 위바닥으로부터 분비
소에서는 1-3위가 기계적인 되새김질을 하고 4위가 단위동물의 위처럼 위액분비 및 소화기능 담당
- 소의 위 : 1위 (rumen, 혹위), 2위 (reticulum, 벌집위), 3위 (omasum, 겹주름위), 4위 (abomasum, 주름위)
라. 창자 (intestine)
-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은 작은창자에서 이자액 및 창자의 효소에 의해 소화되고, 다시 큰창자에서 세균의 작용을 받아서 변으로 배설
- 창자는 간, 이자, 창자로 부터 소화액을 더해 장벽 근육의 분절운동에 의해 소화액과 내용물을 충분히 혼합, 소화, 흡수하는 기관
- 포유동물의 장은 복잡하게 휘어져 있음
- 막창자 (cecum, 맹장)를 경계로 작은창자와 큰창자로 구분
- 작은창자는 샘창자 (duodenum, 십이지장), 빈창자 (jejunum, 공장), 돌창자 (ileum, 회장)로 구분
- 큰창자는 막창자 (cecum, 맹장), 잘록창자 (colon, 결장), 곧창자 (rectum, 직장)으로 구분
- 장관의 길이는 식성, 생활환경과 관련, 육식동물은 짧고, 초식동물은 길다
- 작은창자의 벽 : 점막층, 점막밑층, 근육층, 장막층의 4개의 층을 구성
- 작은창자의 점막은 추벽을 형성, 표면은 융모로 덮임
- 융모의 표층은 원주상피세포로 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무수한 미세융모가 있음
- 주름형태의 융모는 장관내부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영양물의 흡수면을 크게 확대함
- 융모에는 장액을 분비하는 분비샘이 있음
- 융모는 작은창자에는 있으나 큰창자에는 없음
- 작은창자의 운동형 : 분절운동, 진자운동, 연동의 3가지, 운동에 의해 장내용물이 혼합되고 소화흡수되어 큰창자로 보내짐
- 큰창자의 점막에는 융모가 없고, 잘록창자에 존재하는 샘에서 장 내용물과의 접촉에 의해 점액이 분비됨
- 큰창자에서도 연동운동이 일어나는데 전방향뿐만이 아닌 역방향으로도 발생
- 큰창자에 들어온 음식물은 보통 장시간 머무르며, 머무르는 동안 수분흡수 및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 발생, 그 이후 분변이 되어 곧창자를 통과하고 항문을 통해 배설된 분변에는 60%이상의 고형물이 포함
-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 큰창자의 점액, 박리된 상피세포, 미생물 등의 포함
마. 간 (liver)
- 신체가운데 가장 큰 샘기관
-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편중되어 존재, 갈라진 부분에 따라 엽으로 나뉨
- 개와 돼지의 경우 6개의 엽으로 나뉨, 오른안쪽엽, 오른가쪽엽, 왼안쪽엽, 왼가쪽엽, 네모엽 및 꼬리엽 (오른안쪽엽과 네모엽사이에 쓸개=담낭이 끼어 있음)
- 문맥구역 : 간동맥, 문맥 (portal vein), 림프관, 온쓸개관, 신경 등이 출입하는 곳
- 쓸개 :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이 쓸개관을 통해 모이는 곳,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농축된 쓸개즙은 샘창자로 배출
바. 이자 (췌장, Pancreas)
- 위의 후방으로부터 샘창자에 접하여 존재하는 기관
- 오른이자엽, 이자몸통, 왼이자엽으로 구성
- 강력한 소화효소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를 가진 이자액을 분비
- 이자는 내분비샘과 외분비샘을 가짐
- 외분비샘의 샘방 : 소화효소를 함유하는 세포로 되어 있음
- 이자액은 무색투명, 알칼리성 (샘창자내로 들어가는 죽같은 질감의 산성액체를 중화시킴, 이자액 중의 효소의 활성을 높임)
- 이자관 : 이자액을 샘창자까지 운반, 동물에 따라 1개 (토끼, 고양이, 돼지, 사람), 2개 (마우스, 랫드, 개)가 있음
- 이자섬 (Langerhans' islet) : 혈당을 높이는 글루카콘과 혈당을 저하시키는 인슐린 분비되어 혈당량 조절
7) 비뇨계통 (urinary system)
- 배설 (excretion) : 체내의 불필요한 대사산물, 유해물질을 체외로 보내는 작용
- 비뇨기계 : 콩팥, 요관, 방광, 요도
- 콩팥 (신장, kidney) : 가장 중요한 배설기관, 오줌의 배설에 의해 혈중 불용산물 및 유해물 제거, 혈액의 삼투압조절, 세포외액량조절, 혈액의 pH조절, 혈장조성의 조절
- 콩팥은 복강의 등쪽에 좌우 한 쌍, 일반적으로 콩모양, 대부분의 동물에서 오른쪽 콩팥이 약간 앞쪽 또는 위쪽에 위치함
- 겉질 (cortex, 피질)과 속질 (medulla, 수질)로 구분
- 겉질 : 얇은 막의 주머니로 형성된 토리주머니 (glomerular capsule, 사구주머니), 토리주머니 안에는 실패모양으로 뭉친 토리 (glomerulus, 사구체)가 있음
- 콩팥소체 (renal corpuscle, 신소체) : 토리주머니 + 토리
- 토리주머니는 가는 콩팥세관 (urinary tubule, 요세관)에 연결되어 있음, 요세관은 겉질내를 꾸불꾸불 돌아가며 여러개의 콩팥세관과 합류하여 두꺼운 관이 되고, 속질을 통하여 콩팥깔대기 (renal pelvis, 신우)라고 불리는 내강에 개구함
- 콩팥통맥으로부터 토리로 보내진 혈액 중 혈구와 단백질 이외의 성분이 여과되어 토리주머니 내부로 나옴
- 다시 토리주머니로부터 콩팥세관을 흐르는 사이, 신체에 필요한 물질 (수분, 염류, 단백질, 포도당 등)은 콩팥세관 벽으로부터 재흡수되어 대부분이 혈액 중으로 돌아옴
- 이 과정을 통해 혈액중의 노폐물이나 여분의 물질이 오줌성분으로 농축됨
- 오줌은 콩팥깔대기를 거쳐 요관으로 내려가 방광에 저장
- 방광에 축적된 오줌은 요도를 통하여 외부생식기를 통해 체외로 배출
- 요량 : 동물에 따라 다르지만, 같은 종에서도 음수량, 염분섭취량, 땀생산량 등에 따라 달라짐
8) 생식계통 (reproductive system)
가. 수컷생식기관
- 수컷 포유동물의 생식기관 : 고환 (testis), 부고환 (epididymis), 정관 (ductus deferens or deferent duct), 정낭샘 (vesicular gland or seminal vesicle), 전립샘 (prostate gland), 망울요도샘 (bulbourethral gland), 음경 (penis) 등으로 구성
- 고환 : 좌우의 음낭 (scrotum)내에 위치함, 내부는 다수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엽내에는 구부러진 정세관 (seminiferous tubule)이 있어 내벽에 정세포를 가지고 있음
- 부고환 : 고환의 정세관에 이어지는 가는 관이 모여서 형성됨, 정자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 정자를 성숙, 정자의 저장과 수송역할, 사정시 정자의 사출에도 관여
- 정세관 : 처음에는 다수가 있으나 끝부분에서는 하나의 관으로 합쳐짐
- 정낭샘 : 방광의 등쪽에 위치, 포유동물의 정낭샘은 세포의 분비물이 포함되는 것 외에 정자를 저장하는 것과는 관계 X
- 전립샘 : 정낭샘의 뒤쪽, 방광의 등쪽에 있으며 개에서는 몸에 비해 큰 편, 주요 부속생식샘, 전립샘 내부에는 분비물이 뭉쳐 있음
- 망울요도샘 : 골반출구 부근에 있으며 돼지에서 잘 발달, 개에는 없음
- 마우스와 랫드 등의 설치류에서는 정낭샘 안쪽에 응고샘 (coagulating gland)을 볼 수 있음
나. 암컷생식기관
- 난소 (ovary), 자궁관 (oviduct, 난관), 자궁 (uterus), 질 (vagina), 질안뜰 (vestibule, 질전정), 음부 (vulva)로 구성
- 난소는 복강 등쪽에 위치, 겉질과 속질로 나뉘어짐, 겉질에 난모세포, 한 개의 난소에는 수만개의 원시난포가 있음
- 성성숙이 이루어진 다음 난소의 겉질에 포함되어 있는 원시난포의 다수가 발육
- 충분히 성숙한 난포로부터 성숙난자가 배란됨
- 배란된 난자는 자궁관으로 계속 내려와 자궁관팽대부에 이르러 정자와 만나 수정
- 자궁의 형태 : 동물의 종에 따라 다르며 자궁뿔 (uterine horn), 자궁몸통 (uterine body), 자궁목 (uterine cervix)로 구성
- 자궁벽 : 안쪽으로부터 속막, 근육층, 바깥막으로 구분, 속막의 두께는 성주기에 따라 변화
- 월경 : 사람 또는 붉은털원숭이, 속막의 표층부분이 탈락, 갱신하며 혈관의 단절이 일어나 발생함
- 개의 발정전기의 출혈은 속막의 혈액량이 증가하여 내강으로 새어나온 것
- 생식기와 관련된 기타 기관 : 젖샘 (유선), 유두
9) 내분비계통 (endocrine system)
- 내분비기관 :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기관, 체액의 일종인 호르몬은 체내에서 정보전달하는 역할,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관에 의해 운반X, 직접 혈액이나 림프로 스며들어가 혈액순환을 거쳐 해당 표적기관에 도달함
- 순수한 내분비기능만 갖는 기관 : 뇌하수체, 부신, 갑상샘, 부갑상샘, 솔방울샘
- 내분비 + 외분비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관 : 이자, 고환, 난소
- 다른 역할을 주로하지만 일부 내분비기능을 갖는 기관 : 콩팥과 위장관
가. 뇌하수체
- 뇌하수체 분류 : 신경뇌하수체 (neurohypophysis), 샘뇌하수체 (adenohypophysis), 발생학적 기원과 기능이 서로 다름
- 신경뇌하수체 : 옥시토신 (oxytocin), 항이뇨호르몬 (vasopressin) 분비
- 샘뇌하수체 : 성장호르몬 (growth hormone, GH), 젖샘자극호르몬 (prolactin),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 갑상샘자극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부신겉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 분비
나. 갑상샘 (thyroid gland)
- 검붉은색을 띤 길쭉한 모양의 한 쌍으로 된 내분비샘, 서로 분리된 왼갑상샘엽과 오른갑상샘엽이 후두와 인접해서 기관 (trachea) 양쪽의 가쪽면에서 약간 배쪽으로 치우쳐 있음
- 소포 (follicle) : 갑상샘을 이루고 있는 구조적 단위
- 갑생샘은 대부분 소포세포 (follicular cell)로 되어 있으나 적은 수의 소포곁세포 (parafollicular cell)도 섞여 있음
- 소포세포에서는 몸의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타이록신 (thyroxine) 분비
- 소포곁세포에서는 혈장안의 칼슘농도를 낮춰주는 칼시토닌 (calcitonin) 분비
다. 부신 (adrenal gland)
- 배안 등쪽의 콩팥 가까이에 있는 한 쌍의 내분비 기관, 납작하면서 네모에 가까운 길쭉한 형태
- 부신겉질 : 무기질코르티코이드 (mineralocorticoid), 글루코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 생식샘코르티코이드 (gonadocorticoid) 생산
- 부신속질 : 카테콜아민 (catecholamine)인 에피네프린 (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분비
라. 솔방울샘 (송과체, pineal gland)
- 사이뇌(간뇌) 등쪽의 정중단면상에 있는 작은 쐐기 모양의 기관
- 뇌모래(brain sand) : 솔방울샘에 비교적 균일하고 단단하며, 나이가 들면 석회화된 물질의 결석들이 축적
- 멜라토닌 (melatonin), 세로토닌 (serotonin)이 고농도로 존재 : 생식샘활동의 장기적인 계절적 변화와 단기적인 하루의 변화를 조절하는 생물학적 시계로서의 기능을 가짐
10) 신경계통 (nervous system)
- 뇌, 척수, 신경, 감각기 등으로 구성
- 체내 외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분석하여 기능을 달리하는 수많은 세포의 활동을 조절함 --> 생명을 유지하고 상황에 알맞는 체내활동을 수행하는 복잡하고도 방대한 기구
- 중추신경계통과 말초신경계통으로 나뉨
가. 중추신경계통 (central nervous system)
- 뇌 (대뇌, 중간뇌, 사이뇌, 다리뇌, 소뇌 및 숨뇌)와 척수로 구성
- 하등동물보다 고등동물에서 발달
- 같은 포유동물이라도 랫드보다는 개, 원숭이가 뇌 특히 대뇌가 발달
- 뇌의 역할
-- 신경계의 최고 중추로 전신의 각 부위로부터 보내지는 정보를 받아 이를 정리하여 말단의 뼈대근육에 흥분을 전달, 운동을 일으킴
-- 내장의 각 기관에 흥분을 전달하여 그 작용을 조절
-- 내부에 자율신경중추를 가지고 있어 기억, 판단을 수행
- 척수 : 각종 척추뼈의 척추구멍이 연결된 척주관의 내부에 있으며 그 횡단면은 H자형임
- 외측은 백색질, 내측은 회색질
- 백색질에는 뇌와 연락하는 신경섬유가 있음
- 회색질에는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가 있음
- 회색질의 배쪽에는 근육에 자극을 전달하는 원심성 운동신경이 있음
- 회색질의 등쪽에는 말초자극을 척수에 전달하는 구심성 지각신경이 있음
- 외부는 자율신경과 관련된 신경으로 구성
나. 말초신경계통 (periphe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에 출입하는 신경섬유속을 지칭함
- 체성신경계통 : 운동이나 감각 등의 동물성 기능을 맡고 있음
- 자율신경계통 : 호흡, 순환, 흡수 등의 식물성 기능을 맡고 있는 신경계
- 출발부위에 따른 분류 : 뇌신경, 척수신경 --> 체성신경에 속하는 섬유와 자율신경에 속하는 섬유가 같이 들어가 있음
지금
이걸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나는 이제 방향을 틀었는데... 싶지만
작성하던거라 마저 작성한다.
오늘 이거 몇시간 한다고 해서 전체적인 공부 방향에 큰 차이는 없을테니...
참 멀리도 돌아간다.
내가 공부하는 스타일이 원래 맨땅에 삽질 열심히 해야지 깨닫는 스타일이니 어쩔 수 없지.
노오력을 더 하자. 노오력!
'미수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12. 12 (0) | 2021.12.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