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껍질=주양자수 : KLMN, n=1,2,3,4, 2. 최외각전자 = 원자가전자 --> 화학적 성질을 결정 3. 이온결합 : 금속양이온 + 비금속음이온, 전기적으로는 중성 4. HCl은? - 공유결합, 물속에서는 끊어짐, 이온결합 아님 5. 공유결합 : 비금속 + 비금속, 전자쌍을 공유, 단일결합, 이중결합, 삼중결합 6. 외워야 할 분자 - NH3 : 암모니아 - CH4 : 메테인 - C2H5OH : 에탄올 - CH3COOH : 아세트산 - Fe2O3 : 산화철 (이온결합) 7. 분자 :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음 (원자 자체로는 성질 X) 8. 단원자분자 : 혼자서 안정한... He, Ne, Ar 의 18족 9. 2원자분자 : 수소기체 H2, 산소기체O2, 질소기체 N2, F2, Cl2, HCl,..

드디어! 완강이라니!!! 근데 마지막 11강이 착화합물이라 전혀 모르는 거라 리뷰가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다. ㅠㅠㅠㅠㅠ 그래도 시작해야 끝이나지. 일단 푼 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많이 틀렸다.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찍는 비율보다 더 틀린 듯... 어차피 다 틀렸다고 생각하면 되니, 푼 거 사진은 안 올려야지. 1. 전체 화합물이 2-, CN-가 음이온 4개를 가져가니까... Ni²+ 가 되겠네. Ni는 28번, 그럼 전자는 26개, d8 (강의 안 들어서 모르는 규칙이다. 전자가 쌓일때는 1s2, 2s2, 2p6, 3s2, 3p6, 4s2, 3d10, 4p6.... 이렇게 쌓이는데 니켈의 경우 Ni 전자 28개 [1s2, 2s2, 2p6, 3s2, 3p6, 4s2, 3d8] 이렇게 있다가 Ni²+의 경우..

전기화학! 내가 전기관련된 무슨 일을 했었던 것과 상관없이 공부안하니까 아무것도 모른다. 캬캬캬캬캬 이렇게 별 도움이 안되네. 화학에서는 파장이 길 수록 에너지가 짧다 정도만 빼고는 ㅎㅎㅎ 내가 가진 배경지식이 별로 도움이 안된다. 일단 새로 시작! 1. 염다리를 기준으로 왼쪽이 산화(Ox), 오른쪽이 환원(Red) Ox : H₂ --> 2H+ + 2e- Red : Ag+ + e- --> Ag 전자 계수 맞추자 2Ag+ + 2e- --> 2Ag 최종 반응식은 위의 두 식을 합쳐서! H₂ + 2Ag+ --> 2H+ + 2Ag 2. 위의 반응식과 아래 반응식은 계수도 다르고 방향이 반대이다. Eo의 경우 계수가 달라져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방향의 경우 달라지면 부호가 바뀐다. 3. 표준전지전압 = ..

오랜만이다. 생물한다고 약간 외면했는데... 강원대가 다가오니 더 이상 미룰 수 없어서 다시 시작 ㅠ 뒷심이 약해서 그런지 점점 더 힘들다. 그래도 일단 인강은 다 들었고 오늘은 블로그 리뷰는 다 해버리고 싶다. 잡생각이 많이 나는 날이라 유튭으로 음악들으면서 슬렁슬렁 공부하는 날 그래도 이런 날에는 화학 계산문제 푸는 게 더 낫다. 암기는 더 안되는 날 ㅠㅠㅠㅠㅠㅠ 처음에 문제 풀었을 때 생각보다 많이 맞기는 했다. 그래도 pH 구하고 이런 공식 완젼히 기억에서 날려서 아예 못풀줄 알았는데 기본적인 개념 (어떻게 하면 pH가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는 수준)은 조금 남았나부다. 찍은 게 대거 맞았다. 그래도 풀이 듣다가 깜놀;;; 아 이렇게 푸는 거였어? 암튼 제대로 된 리뷰 시작! 1. 강산의 정의 : ..

1. 하하 분명 들었지만 나는 다 까먹었지 Kc는 농도로 따지는 평형상수 Kp는 압력으로 따지는 평형상수 Kp = Kc*{(RT)^델타Ngas} 여기서 델타Ngas는 생성물의 차수 - 반응물의 차수 Kp 와 Kc가 같아지려면 델타Ngas가 0 그리고 평형상수 계산할 때 고체와 액체는 빠진다. 이런 전제조건을 가지고 찾으면 됨둥 2. 평형반응식 찾아라! 액체와 고체는 빠진다옹! 3. 계산계산 4. 계산계산 5. Kp = Kc*(RT)^deltaNgas 6. H>0, 흡열반응, 온도가 올라가면 넘어가기 쉬워지므로 정반응 ㄱㄱ N₂F₄ --> 2NF₂, deltaH > 0 정반응 보내버리기 온도를 올린다 부피를 크게 = 압력은 낮게 요런식 일정온도, 일정압력에서 He같은 비활성기체를 넣어준다는 건 부피만 증가..

1. 0차 속도식, 반감기 적분속도식 : A = -kt + A0, 반감기 = A0 / 2k 1차 속도식, 반감기 적분속도식 : lnA = -kt + lnA0, 반감기 = ln2 / k 2차 속도식, 반감기 적분속도식 : 1/A = kt + 1/A0, 반감기 = 1/kA0 3) B 농도가 매우 클 경우 --> B농도를 상수로 놓는다 v = k[A]²[B] --> k'[A]² 이렇게 놓고 푼다, 그러면 얘는 2차 속도식이 되겠구먼, 1/A와 t에 대해서 -k 기울기!!! 4) A와 B 농도가 매우 큼 --> A와 B농도를 상수로 놓는다. v = k[A]²[B] --> k'' 이렇게 되면 얘는 0차 속도식이 되겠구먼 적분속도식 : C=-kt +C0 2. 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반응속도는 화학종의 농도에 의..

1. 고체라서 격자에너지. 나는 그냥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2. 반응의 엔탈피 3. 흑연 --> 다이아몬드, 엔탈피 변화 : 반응물 --> 생성물 델타 H = 반응물 연소E - 생성물의 연소E = -393.5 - (-395.4) = +1.9 4. a) 결합E 구하려면 일단 수식 먼저 : Cl₂ -> 2Cl(g) 결합E 니까... 분해될 때 엔탈피 변화를 알면 되는건가 결합E = 생성물E - 반응물E = 121.7 *2 - 0 b) KF(s)의 용해열은? KF(s) -> K(aq)+ F-(aq), 용해열 = 생성물E - 반응물E : -252.4k + (-332.6k) - (-567.3k) c) HF (aq) --> H+(aq) + F-(aq), 산이온화과정 HF(aq) + H₂O(l) --> H₃O(a..

기본 개념을 예전에 ㅅㅌㅇ로 들었는데 기억이 거의 안 난다. 큰 틀에서만 기억나는 것들로 풀어보니 계산문제 일부는 풀 수 있는데 여전히 많이 틀리네;;;;;; 몰농도 (용액부피당 용질몰수) = 용질몰수 / 용액 1L 밀도 (부피당 몇 g이게???) = 무게 / 부피 --> 용액무게 = 용액부피 * 용액밀도 몰랄농도 (용매1kg당 용질몰수) = 용질몰수 / 용매 1kg *용액농도환산공식을 알려주긴 했는데 이제 더 공식을 외울 에너지가 없어서;;;; 안외우련다. 나중을 위해 써두긴 해야지. a% bM (몰농도) : 10 * a * d(밀도) = b * 분자량M bM (몰농도) cm (몰랄농도) : 1000 * b = 1000 * c * d(밀도) - b * c * 분자량M cm (몰랄농도 ) a% : 100..

1. 결합세기 화학결합(이온결합) > 분자결합 (수소결합, 쌍극자 힘) 2. H와 F, O, N의 결합이 수소결합 3. 결합은 역시 이온결합이 1등! 이온-쌍극자결합 (인력) London force : 분산력, 젤 작은 힘 *가끔 쌍극자-쌍극자 힘이 London force보다 클 때도 있긴 하지만 어차피 작은 애들끼리의 싸움이라 크게 차이 없음 4. 힘세기 : 화학결합 >> 분자결합 중 수소결합 > 분자결합 Ca : 금속결합 고체 (화학결합) C : 그물형 공유 (화학결합) CaC₂ : 이온결합 (화학결합) CO₂ : 분자결합 H₂O : 분자결합 중 수소결합 5. 끓는점 : 상호간의 인력 = 반데르발스힘 6. 수소결합 >> 분산력크기순 분산력 = 질량비례 7. 분자결합 중 가장 강한 것은 역시 수소결합!..

1. 부분압 ∝ 몰수 2. 보일의 법칙 : P1V1 = P2V2 3. 샤를의 법칙 : V1/T1 = V2/T2, 1도 증가시 부피가 1/273만큼 증가 4. 아보가드로의 법칙 : 압력, 온도 일정시 부피는 몰수에 비례 5. 보일의 법칙 : 압력은 부피에 반비례 7. STP 일 때 RT = 22.4 atm.L/mol 10. 25도 일 때 RT = 24.4 atm.L/mol 12. 네온 부분압력 = {4.46 / (4.46+0.74+2.15) }*2 13. 속도² ∝ 1/질량, 말로쓰니까 어렵네;;; 질량이 4배면 속도는 1/2, 반대로 속도가 4배면, 질량은 1/16 작은 애. 14. 속도와 질량과의 관계, 질량 m VS 속도 v² 15. 운동에너지 ∝ 절대온도 이상기체는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작은 입자로..